시공 가이드

[초급] 드레스룸 인테리어의 모든 것

등록일 2025.01.24 조회수 128
pin image




[목차]

01. 드레스룸의 역할과 변화

02. 드레스룸 연출 방법

03. 드레스룸 시공사례 모아보기


다양한 의류와 소품을 한눈에 정리하고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드레스룸은 이제 수납을 위해 옷을 보관하는 공간을 넘어, 개인의 스타일과 취향을 반영하는 중요한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집에서 가장 넓은 공간을 드레스룸에 양보하기도 하고, 세탁실을 포함한 드레스룸을 꾸미기도 하는 등 유연한 공간 활용이 돋보이는 추세이며, 안방에 가벽이나 파티션을 세워 수면공간과 분리된 드레스룸을 연출하는 경우도 종종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처럼 변화하는 드레스룸의 역할과 트렌드, 그리고 이를 반영한 드레스룸 연출 방법과 실제 시공 사례들을 알아보겠습니다.



01. 드레스룸 역할과 변화


드레스룸은 의류, 신발, 가방 등을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보관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가장 근본적인 드레스룸의 역할은 생활하면서 늘어나는 옷가지와 다양한 소품들을 넉넉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인데요. 이밖에도 의류와 소품을 먼지와 햇빛으로부터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인지, 환기가 가능한지 등의 요소를 적절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pin image


최근에는 의류 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커지면서 의류 관리기, 신발 관리기, 건조기와 같은 가전 제품이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고, 이러한 가전을 다양하게 갖추어 런드리룸과 드레스룸을 결합하는 형태의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구성하면 착장부터 의류 관리까지의 동선을 간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in image


레저와 여가 활동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종류의 의류와 용품을 함께 보관해야 하는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크기나 형태가 다양한 용품들로 인해 기존 수납 공간을 활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빌트인 시스템 유닛을 활용한다면 부피나 형태가 다양한 소품들도 개인의 취향과 필요에 맞게 맞춤형으로 효율적인 수납이 가능합니다.




02. 드레스룸 연출 방법


한정된 공간에 많은 양의 옷과 물건들을 수납하려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필요합니다. 가장 먼저 공간을 채울 때 붙박이장으로 할지, 시스템 행거로 시공할지 선택하게 되는데요. 공간의 구조와 형태에 따라 어떻게 드레스룸을 연출하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① 공간이 정돈되어 보이는 붙박이장


드레스룸을 따로 만들 공간의 여유가 없을 때는 방 안에 붙박이장을 시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붙박이장은 내부 노출이 없어 공간이 정돈되어 보이며, 다양한 수납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의류는 물론 침구류 보관도 용이합니다.

붙박이장은 도어가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빛 접촉이 적어 옷과 가방 등의 변색 걱정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스톤, 프렌치 스타일 등 다양한 스타일의 도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취향에 따라 유리 도어나 내부 조명을 더해 색다르게 연출할 수 있습니다.


붙박이장 설치 시 수납장 내부에 옷을 수납해야 하기 때문에 최소 깊이 약 600mm가 필요하며, 여닫이 형태의 경우 문 열림 공간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공간의 여유가 없다면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최근 드레스룸에 의류 관리 가전제품을 같이 설치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는데요. 제품 설치 위치에 콘센트가 있는지 확인하고 위치에 따라 멀티탭을 연결하거나 전기선을 연장하는 등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스위치의 위치, 천장 조명과 천장형 에어컨, 측면 창문 손잡이 등에 간섭이 있는지의 여부 등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 개방감 있는 시스템 행거

pin image
pin image


시스템 행거의 일반적인 폭은 400mm 정도입니다. 가구가 차지하는 면적이 비교적 적고 코너 공간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 주어진 공간 안에서 원하는 형태를 유연하게 꾸밀 수 있는데요. 오픈된 형태라 환기와 통풍이 편하고 곰팡이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시스템 행거를 시공했을 때 개방감이 느껴지는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는 점은 장점이지만, 도어가 없기 때문에 관리에 소홀해지면 옷이 변색될 수 있습니다. 드레스룸의 채광이 좋은 편이라면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블라인드를 설치하거나 옷을 커버로 감싸 보관하는 등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③ 별도의 드레스룸이 있을 경우

pin image


별도의 드레스룸 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수납가구 설치 범위가 넓어지므로 보다 체계적인 수납 환경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행거를 ㄷ 자 혹은 11자 형태로 구성하면 충분한 이동 동선을 확보할 수 있는데요. 여유 공간의 면적에 따라 중앙에 액세서리나 잡화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아일랜드 수납장을 배치할 수도 있고, 스툴이나 전면 거울 같은 소가구를 배치하면 보다 실용적인 드레스룸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④ 침실 안의 드레스룸

pin image


침대에 가벽을 세우고 수납 가구를 시공하면 워크인 타입의 드레스룸이 완성됩니다. 드레스룸으로 이어지는 통로에 도어를 달아주면 공간을 분리할 수 있으며 옷이 오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데요. 비교적 좁은 면적이라면 슬라이딩 도어를 시공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목공 벽 외에도 유리 파티션이나 가벽 등을 활용하여 개방적이 느낌을 연출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pin image


공간이 협소해 가벽 형태가 답답하게 느껴질까 우려된다면 하프 수납장이나 유리 및 간살 등의 파티션을 설치해 침대 헤드보드로 활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시각적으로는 분리가 되지만 막혀 있지 않아 개방감을 살릴 수 있습니다.


청소년기 자녀방의 경우 공부방과 침실, 드레스룸의 역할을 모두 할 수 있도록 복합형 수납 가구를 추천합니다. 붙박이장과 책장을 동일한 자재로 제작하면 일체감이 느껴지고 깔끔한 무드를 연출할 수 있는데요. 코너까지 활용한 붙박이장과 빌트인 책장을 설치하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자투리 공간까지 빈틈없이 활용할 수 있는 코너 수납장은 뛰어난 수납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화장대를 별도로 두기 애매하다면 붙박이장과 연결된 파우더 유닛을 시공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pin image


협소한 공간에 여기저기 가구를 배치하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는데요. 그럴 때 무지주 선반처럼 벽을 활용하는 수납 아이템을 활용하면 보다 실용적인 공간이 완성됩니다. 벽 일부를 수납을 위해 활용하면 공간이 답답해 보이지 않으며, 미니 화분이나 액자 등을 배치하여 인테리어 효과도 줄 수 있습니다.





03. 드레스룸 시공사례 모아보기


넓은 면적의 안방에는 우드 가벽을 세워 수면 공간과 드레스룸을 분리했으며, 가벽에는 간살 디테일을 적용하여 답답함을 덜어냈습니다. 애쉬 톤의 인테리어 필름을 적용하여 내추럴한 분위기를 연출한 점이 돋보입니다.


은은한 아이보리톤을 베이스로 하되, 곳곳에 짙은 우드 패턴과 웜톤의 인테리어 필름을 사용한 인테리어 현장입니다. 드레스룸과 이어지는 벽면에는 LX Z:IN 빌트인시스템 셀렉션 모던을 시공하여 수납 편의성을 높이되 기존 공간을 해치지 않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안방 한쪽 벽 전체에는 LX Z:IN 빌트인 시스템 셀렉션 미스티 붙박이장을 시공해 수납력을 확보하고, 짙은 그레이 톤의 벽지와 대비되는 화이트 톤을 선택하여 세련된 무드를 살렸습니다.


방 전체를 드레스룸으로 꾸민 현장입니다. 마주보는 두 벽면에 LX Z:IN 빌트인 시스템 셀렉션 스톤 붙박이장을 설치하고 가운데에는 악세서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아일랜드형 서랍 유닛을 배치했습니다.

pin image



※ 상기 시공 이미지와 제품 및 디자인, 색상 등은 화면 해상도 등에 따라 실제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상기 비용은 적용되는 자재, 현장 확인 후 상담 결과, 시공 환경 및 기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단종 및 디자인 변경 등으로 동일한 제품 구매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주)엘엑스하우시스에 귀속되며, 무단으로 이용할 경우 법적 책임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 내 이미지는 Shutterstock에서 유료로 제공받아 제작하였습니다.